<2008.11.22 (토) 다녀온 북한산 종주산행 사진입니다>
산행코스: 백운대매표소>위문>백운대>용암문>동장대>대동문>대성문>대남문>문수봉>나한봉>용출봉>의상봉>산성매표소
도선사 주차장을 지나 <백운대매표소>에서 산행을 시작합니다.
하루재에서 바라본 <인수봉>의 우람한 자태입니다.
<백운암>의 쉼터를 생각하며 저 계단을 부지런히 오릅니다.
백운암이 있는 대피소 쉼터입니다.
백운암을 지나 위문을 향해 오르다 되돌아보니 운무에 싸인 서울시가지와 우측 바위가 절묘하게 앉아 있습니다.
백운대를 오르기 위해 거쳐야 하는 성곽 <위문>입니다. 바위 옆길로는 <만경대>로 오르는 길입니다.
북한산의 정상인 백운대를 오르기 위해 암벽 험로에 줄이 이어져 정체가 심합니다.
백운대를 오르다 돌아본 남쪽 맞은 편 봉우리인 <만경대> 입니다.
태극기 휘날리는 백운대 정상 주변에 찬바람을 피해 삼삼오오 쉬고 있는 산님들입니다.
백운대 정상의 동쪽 맞은 편에 있는 <인수봉>과 그 뒤 좌측 멀리에 <도봉산>이 이웃하고 있습니다.
백운대 정상에 앉아 인수봉을 쳐다보며 추위에 떨면서 무슨 생각으로 저렇게 넋 놓고 앉아 있을까요?
백운대 정상에서 북쪽을 내려다 본 <망운대>로 오르내리는 능선입니다. 뒤는 <상장능선>의 상장봉입니다.
백운대 정상에서 남쪽을 바라본 <만경대>와 <노적봉>입니다. 그 뒤로 <문수봉,나한봉> 등의 봉우리입니다.
백운대에서 남서쪽을 바라본 <의상능선>과 그 뒤로 <비봉능선>이 펼쳐집니다.
백운대 정상에서 카메라 줌을 당겨 바라본 나중에 나려가야 할 <의상능선>입니다.
백운대 정상에서 남쪽 맞은 편의 <만경대>를 카메라 줌으로 당겨서 조망해 봅니다.
백운대 정상에서 위문으로 내려서다 <오리형상을 한 바위>를 발견해 카메라에 주워 담습니다.
위문을 지나 서쪽으로 내려서면 <대동문>방향과 <북한산성입구>로 내려가는 갈림 지점입니다.
위문을 지나 <노적봉>방향으로 가다가 되돌아본 북쪽의 <백운대>입니다.
<노적봉>가는 등로에서 북서쪽을 바라본 백운대에서 이어지는 <염초봉>과 <원효봉>의 능선입니다.
위문을 지나 대동문 가는 방향의 등로에서 바라본 <노적봉>입니다. 노적봉 아래에서 중식을 해결합니다.
노적봉을 지나 대동문 방향으로 가는 도중에 만나는 <용암문>입니다.
등로에 있는 쉼터입니다.
용암문을 지나 <동장대> 가는 등로의 낙엽길입니다. 겨울이 바짝 다가선 풍경입니다.
복원된 북한산성 성곽을 따라 걷는 사람들의 마음은 옛 역사 속을 걷고 있을 것입니다.
북한산성내의 3기의 장대(동장대,남장대,북장대) 중 하나인 장수의 지휘소였던 <동장대>입니다.
동장대를 지나 산성 성곽을 따라 걷다 되돌아 보니 멀리 만경대와 인수봉이 고개를 내밀고 있습니다.
<대동문>입니다. 대동문을 나서 동북쪽으로 가면 <진달래능선>으로 가고 곧바로 내려가면 <구천계곡>입니다.
대동문을 지나 성곽을 따라 가다 보면 만나는 동남쪽으로 나있는 <칼바위능선>입니다.
칼바위능선을 지나 내려서면 만나는 <보국문>과 <대성문>으로 가는 산성길입니다.
보국문에서 성곽길을 따르지 않고 산허리로 난 등로를 따라 <대남문>으로 가는 길입니다.
대남문 가는 산허리로 난 등로에서 올려다 본 <대성문>입니다.
<대남문>에 들어서기 전의 갈림길입니다. 많이 걸어온 만큼 저멀리 백운대와 만경대가 보입니다.
대남문 남쪽 바깥문에서 아치문을 통해 바라본 북쪽의 백운대와 만경대가 거울속의 그림 같습니다.
대남문에서 남동쪽으로 바라본 <보현봉>입니다. 내려가면 <구기계곡>으로 가는 길입니다.
대남문 성곽에서 보현봉을 배경으로 포즈를 잡아 봅니다.
대남문을 지나 의상능선으로 들어서는 초입의 <정수동암문>입니다.
<의상능선>을 오르며 바라본 남쪽의 <비봉능선>입니다.
비봉능선의 <승가봉, 비봉, 향로봉>이 이어져 가고 저멀리 향로봉에서 남쪽 아래로 <탕춘대능선>입니다.
<의상능선>의 여러 암봉들이 줄지어 늘어서서 산님을 불러 내립니다.
의상능선에서 바라본 우측 백운대에서 서쪽으로 염초봉,원효봉으로 내려가는 능선이 펼쳐집니다.
북한산의 옛 산명이 <삼각산>인데 그 이유는 백운대,인수봉,만경대가 사진처럼 삼각을 이루고 있어서입니다.
저멀리 삼각산에서 우측 능선을 따라 동장대를 거쳐 장방형으로 돌아 이곳까지 와서 지난 길을 돌아봅니다.
<용혈봉>에서 되돌아 올려다 본 <나월봉>과 <나한봉>의 험준한 산세입니다.
산성계곡 깊은 곳에 자리한 사찰들을 줌으로 당겨 봅니다.
의상능선을 따라가다 바라본 <용출봉>과 우측의 <의상봉>가는 능선입니다.
어느 산님이 지나다 이 바위를 보고서 <돼지바위>라고 말하며 지나갑니다.
의상능선의 남쪽으로 발견되는 <강아지바위>입니다. 가운데 바위가 강아지를 닮았습니다.
<용출봉>과 <의상봉>을 아직도 넘어가야 합니다.
용출봉 북쪽 아래의 <국녕사>의 대불이 산님들의 떠드는 소리에도 삼매에 빠져 있습니다.
용출봉을 오르는 산님을 멀리서 불러 세워 줌으로 당겨 봅니다.
용출봉을 오르는 안부에서 발견되는 두 팔 벌린 바위가 절묘한 자태로 산님들을 불러 세웁니다.
여기에도 멋진 바위가 산님들의 발목을 잡고서 놓아주지를 않습니다.
용출봉에서 되돌아본 지나온 의상능선입니다. <용혈봉,나월봉,나한봉,문수봉>입니다
서남쪽의 <응봉능선>을 배경삼아 머리카락을 휘날려 봅니다.
<용출봉>에서 바라본 <의상봉>입니다. 우측에 <원효봉>의 암산이 웅장한 모습으로 뒤에서 다가옵니다.
용출봉을 내려서는 길이 아주 가파릅니다. 여기를 내려서면 <가사당암문>이 나옵니다.
의상봉을 내려서는 길은 더더욱 가파르고 험준합니다. 거꾸로 올라왔으면 고생깨나 했을 것입니다.
의상봉을 내려서는 길에 절묘한 <거북이 형상을 한 바위>가 덩그러니 앉아서 올라타 보라고 말합니다.
의상봉을 내려서다 바라본 <북한산성입구 탐방지원센타>와 주차장입니다. 우리차가 저멀리 보입니다.
또 험준한 구간이 계속해 나옵니다. 조심하지 않으면 바로 낙상입니다.
의상봉을 다내려와 평지가 되는 등로에 아주 맛있는 약수터를 만납니다. 이 가뭄에도 소나무밑에서 나는 물입니다.
산길을 벗어나니 산성계곡으로 드는 차도에 들어섭니다. 산행은 사실상 여기서 끝납니다.
차도를 따라 10여분 내려오니 주차장입니다. 되돌아 본 <북한산>으로 왼쪽이 원효봉,우측이 의상봉입니다.
<이렇게 해서 짧지만 긴 하루를 북한산과 함께 했습니다.>
'떠 남 과 만 남 > 포토산행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북진안 <운장산/복두봉/구봉산> 설경산행 (0) | 2008.12.09 |
---|---|
경남함양 <삼봉산/백운산/금대산> 설경산행 (0) | 2008.12.08 |
전남담양 <추월산> 호남정맥 구간산행 (0) | 2008.11.17 |
전남영암 <월출산> 암릉산행 (0) | 2008.11.11 |
전북정읍 <내장산> 단풍산행 (0) | 2008.11.10 |